카테고리 없음2014. 1. 21. 22:32

※ a : 문자열 변수

  • a.upper() → 문자열 a를 모두 대문자로 바꾸어 준다.
  • a.lower() → 문자열 a를 모두 소문자로 바꾸어 준다.
  • a.swapcase() → 문자열 a의 대문자는 소문자로, 소문자는 대문자로 각각 바꾸어 준다.
  • a.count(x) → 문자열 a 중 문자 x와 일치하는 것의 개수를 반환
                 (※ 이때 x는 문자 한 개 일수도, 문자열 일 수도 있다.)
  • a.find(x) →  문자열 a 중 문자 x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. 없으면 '-1'을 반환
  • a.index(x) → 문자열 a 중 문자 x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.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.
  • a.join(s) → s라는 문자열의 각각의 요소 문자 사이에 문자열 a를 삽입한다.
  • a.strip() → 문자열 a의 양쪽 공백을 모두 지운다.
  • a.lstrip() → 문자열 a의 왼쪽 공백을 모두 지운다.
  • a.rstrip() → 문자열 a의 오른쪽 공백을 모두 지운다.
  • a.replace(s, r) → 문자열 a의 s라는 문자열을 r이라는 문자열로 치환한다.
  • a.split(s) → 문자열 a를 s를 구분자로 하여 나누어 준다. a.split()은 공백을 기준으로 한다. 이때 s는 제외된다.

    >>> a = 'Bladebone'
    >>> a
    'Bladebone'

    >>> a.upper()
    'BLADEBONE'

    >>> a.lower()
    'bladebone'

    >>> a.swapcase()
    'bLADEBONE'

    >>> a.count('e')
    2

    >>> a.count('ad')
    1

    >>> a.find('e')
    4

    >>> a.find('x')
    -1

    >>> a.index('e')
    4

    >>> a.index('x')
    Traceback <most recent call last>:
      File "<stdin>", line 1, in <module>
    ValueError: substring not found

 

>>> a = ':'
>>> a
':'

>>> s = '123'

>>> s
'123'

>>> a.join(s)

'1:2:3'

>>> a = ' left 1 right 1 '
>>> a
' left 1 right 1 '

>>> a.strip()

'left 1 right 1'

>>> a.lstrip()

'left 1 right 1 '

>>> a.rstrip()

' left 1 right 1'

 

>>> a = 'Bladebone is good guy'
>>> a
'Bladebone is good guy'

>>> a.replace('good', 'bad')

'Bladebone is bad guy'

>>> a

'Bladebone is good guy'

>>> a.split()

['Bladebone', 'is', 'good', 'guy']

 

 

>>> a = '1,2,3,4'
>>> a
'1,2,3,4'

>>> a.split(',')

['1', '2', '3', '4']

 

출처 :   http://agiantmind.tistory.com/31

 



Posted by 오늘보다 나은 내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