XBMC 로 시작할 경우 NTFS 파티션이 마운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일을 읽을 수 없다...
우선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각 ntfs 파티션의 'UUID' 넘버를 알아둡니다.
(UUID란? --> 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)
$ ls -l /dev/disk/by-uuid/
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이 됩니다.
합계 0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3C986B2F986AE6BC -> ../../sdb1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4E8C66928C66747D -> ../../sdb2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6A3CFD903CFD5791 -> ../../sdc1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7730c540-4605-4d87-88dc-760bb9a37ef5 -> ../../sda3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CC24EA6124EA4E50 -> ../../sda1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E8F85FF8F85FC38A -> ../../sdc2
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-04-25 23:10 dc464f65-6885-46e8-a7a0-91960d71ab8c -> ../../sda4
여기서 날짜와 시간 뒤에있는 복잡해보이는 일련번호가 바로 'UUID'입니다.
'sda1' 'sdb2' 등등은 각 파티션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이라 보면 되겠습니다.
'sda1' 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,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1번 파티션이라는 의미입니다. 'sdb3'은 두번째 하드디스크의 셋째 파티션을 가리키는 것이겠고요. 즉 뒤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알파벳은 하드디스크의 순서이고, 맨 뒤에 붙은 숫자는 파티션의 순서인 것이지요.
이 제 UUID 를 알아냈으므로, 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를 시켜주는 설정 파일을 편집할 차례입니다.
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.
$ sudo gedit /etc/fstab
텍 스트 에디터가 열리면서 'fstab'라는 설정 파일을 불러오게 되겠죠.
저의 경우처럼 ntfs 파티션이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은 상태라면 다음과 같이 리눅스 파티션의 마운트 명령어만이 들어있을 것입니다.
# /etc/fstab: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.
#
# <file system> <mount point> <type> <options> <dump> <pass>
proc /proc proc defaults 0 0
# /dev/sda4
UUID=dc464f65-6885-46e8-a7a0-91960d71ab8c / ext3 relatime,errors=remount-ro 0 1
# /dev/sda3
UUID=7730c540-4605-4d87-88dc-760bb9a37ef5 none swap sw 0 0
/dev/scd0 /media/cdrom0 udf,iso9660 user,noauto,exec,utf8 0 0
여기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자동 마운트할 파티션의 정보를 추가해서 입력해줍니다.
UUID=CC24EA6124EA4E50 /media/sda1 ntfs defaults,umask=007,gid=46 0 1
UUID=0CF64C51F64C3CE8 /media/sda2 ntfs defaults,umask=007,gid=46 0 1
주의할 점이라면 각 파티션의 이름(sda1등)과 UUID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주어야 한다는 정도겠네요.
정확하게 입력을 마쳤으면 파일을 저장하고 나옵니다.
그리고 마운트될 디렉토리를 미리 만들어줍니다.
이 작업을 빼먹으면 절대 안됩니다.
$ cd /media /media$ sudo mkdir sda1 sda2 ..........
이 제 리부팅하면 ntfs 파티션들이 만들어준 디렉토리( /media/sda1 등)에 마운트되어 있을 것입니다.
끝으로 한가지 응용을 해볼까요.
파티션을 마운트하는 디렉토리가 꼭 /media/sda1 등의 형식일 필요는 없겠죠.
자신의 편의에 맞춰서 임의의 디렉토리에 마운트한다면 더 편할 것입니다.
저는 저의 홈디렉토리에 마운트시키고, 디렉토리의 이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만들었더니 아주 편하더군요.
예를 들자면 이런 식입니다.
UUID=CC24EA6124EA4E50 /home/mojo/xp ntfs defaults,umask=007,gid=46 0 1
UUID=0CF64C51F64C3CE8 /home/mojo/text ntfs defaults,umask=007,gid=46 0 1
UUID=3C986B2F986AE6BC /home/mojo/backup ntfs defaults,umask=007,gid=46 0 1
출 처 : http://mojolog.com/tcb/366